본문 바로가기

윈도우에서 macOS 설치하기 VMWare 완벽 가이드와 오류 해결법

윈도우 PC에서 VMWare를 활용해 macOS를 설치하는 완벽 가이드입니다. 필요한 파일 다운로드부터 설치 과정, 자주 발생하는 오류 해결 방법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가상 환경에서 macOS를 경험하고 싶은 분들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VMWare를 이용한 macOS 설치 준비하기

윈도우 PC에서 macOS를 사용하고 싶다면 가상머신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VMWare는 안정적인 성능과 사용 편의성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선택하는 가상화 솔루션입니다. 이 글에서는 윈도우에 VMWare를 설치하고 macOS를 구동하는 전체 과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설치 전 필수 요구사항

macOS를 가상머신에서 원활하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시스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프로세서: 인텔 듀얼 코어 이상 (최신 버전의 macOS는 쿼드코어 이상 권장)
  • 메모리(RAM): 최소 4GB (8GB 이상 권장)
  • 하드 디스크 공간: 최소 40GB 이상의 여유 공간
  • BIOS 설정: VT-X 또는 AMD-V 가상화 기술 활성화 필요
  • 운영체제: 윈도우 10 이상 권장

특히 BIOS에서 가상화 기술을 활성화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컴퓨터 시작 시 F2, F10, Del 등의 키를 눌러 BIOS 설정에 진입한 후 가상화 관련 옵션을 찾아 활성화해야 합니다.

필요한 파일 다운로드하기

macOS를 VMWare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필요합니다:

  1. VMWare Workstation Player 또는 Pro: 무료 버전인 Player로도 충분히 설치 가능합니다.
  2. VMWare Unlocker: VMWare가 macOS를 게스트 OS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패치 도구
  3. macOS 이미지 파일: 설치하고자 하는 macOS 버전의 이미지 파일 (.dmg 또는 .iso 형식)

macOS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macOS 이미지 파일을 준비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OpenCore를 이용한 방법 (권장)

이 방법은 애플 공식 서버에서 직접 파일을 다운로드하므로 안전합니다.

  1. Python을 설치합니다 (www.python.org/downloads)
  2. OpenCore 최신 릴리즈를 다운로드합니다 (github.com/acidanthera/OpenCorePkg/releases)
  3. 다운로드한 ZIP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Utilities\macrecovery 폴더로 이동합니다
  4.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우클릭하여 PowerShell 창을 엽니다
  5. 원하는 macOS 버전에 해당하는 Python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Ventura의 경우: 
  6. python ./macrecovery.py -b Mac-27AD2F918AE68F61 -m 00000000000000000 download
  7. 생성된 BaseSystem.dmg 파일을 사용자 문서 폴더로 복사합니다

2. 이미 만들어진 이미지 파일 사용하기

인터넷에서 이미 준비된 macOS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보안상 위험할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다운로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VMWare 설치 및 설정하기

VMWare 설치

  1. VMWare 공식 웹사이트에서 VMWare Workstation Player 또는 Pro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2. 설치 과정은 기본 설정을 따라가면 됩니다.

VMWare Unlocker 적용하기

VMWare는 기본적으로 macOS를 게스트 운영체제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Unlocker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1. VMWare Unlocker를 다운로드합니다 (GitHub 등에서 최신 버전 검색)
  2. 다운로드한 파일의 압축을 풉니다
  3. VMWare를 완전히 종료합니다
  4. 압축 해제한 폴더에서:
    • 윈도우의 경우: win-install.cmd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 리눅스의 경우: 터미널에서 sudo ./linux-install.sh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5. 설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macOS 가상머신 생성하기

새 가상머신 생성

  1. VMWare를 실행하고 "새 가상 머신 생성"을 클릭합니다
  2. "일반" 구성 유형을 선택합니다
  3. "나중에 운영 체제를 설치하겠습니다"를 선택합니다
  4. 게스트 운영체제로 "Apple Mac OS X"를 선택하고, 버전은 설치하려는 macOS 버전에 맞게 선택합니다
  5. 가상머신의 이름을 지정하고 저장 위치를 선택합니다
  6. 디스크 용량은 최소 40GB 이상으로 설정하고, "단일 파일로 가상 디스크 저장"을 선택합니다

가상머신 설정 조정

생성된 가상머신의 설정을 다음과 같이 조정합니다:

  1. 가상머신을 선택하고 "가상머신 설정 편집"을 클릭합니다
  2. 메모리: 최소 4GB 이상 (8GB 이상 권장)
  3. 프로세서: 호스트 머신의 성능에 따라 적절히 설정 (최소 2코어 이상 권장)
  4. 네트워크 어댑터: NAT 또는 브리지 모드로 설정
  5. CD/DVD (SATA): macOS 이미지 파일을 선택합니다

VMX 파일 수정하기

가상머신이 macOS를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VMX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1. VMWare를 완전히 종료합니다
  2. 가상머신이 저장된 폴더로 이동하여 .vmx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찾습니다
  3. 이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고 다음 설정을 추가합니다:
mainMem.useNamedFile = "FALSE"
prefvmx.minVmMemPct = "100"
vhv.allow = "TRUE"
smbios.reflectHost = "TRUE"
hw.model = "MacBookPro14,3"
smc.version = "0"
monitor.virtual_exec = hardware
monitor.virtual_mmu = hardware
  1. 파일을 저장하고 닫습니다

추가로, VMWare 설정 파일인 C:\ProgramData\VMware\VMware Workstation\config.ini도 수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mks.gl.allowBlacklistedDrivers = "TRUE"
vhv.allow = "TRUE"
prefvmx.useRecommendedLockedMemorySize = "FALSE"
prefvmx.allVMMemoryLimit = "4096"

macOS 설치 과정

가상머신 시작 및 설치

  1. VMWare를 실행하고 생성한 가상머신을 시작합니다
  2. macOS 설치 화면이 나타나면 언어를 선택합니다
  3. 디스크 유틸리티를 실행하여 가상 디스크를 포맷합니다:
    • 디스크를 선택하고 "지우기" 클릭
    • 포맷은 APFS로 선택하고 이름 지정 (예: "Macintosh HD")
    • "지우기" 클릭 후 디스크 유틸리티 종료
  4. macOS 설치 프로그램으로 돌아가서 포맷한 디스크를 선택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5. 설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약 20-30분 소요)

초기 설정 완료하기

설치가 완료되면 macOS 초기 설정 화면이 나타납니다:

  1. 국가 및 언어 설정
  2. 네트워크 설정
  3. Apple ID 로그인 (건너뛰기 가능)
  4. 사용자 계정 생성
  5. 설정 완료

VMWare Tools 설치하기

macOS의 성능 최적화와 호스트 시스템과의 통합을 위해 VMWare Tools를 설치해야 합니다:

  1. 가상머신 메뉴에서 "VM > VMWare Tools 설치"를 클릭합니다
  2. macOS 내에서 VMWare Tools 설치 프로그램이 나타나면 이를 실행합니다
  3. 설치 지침에 따라 진행합니다
  4. 설치가 완료되면 가상머신을 재부팅합니다

만약 VMWare Tools 설치 중 오류가 발생한다면:

  1. 설정으로 이동하여 CD/DVD (SATA) 섹션을 확인합니다
  2. "CD/DVD 드라이브 연결" 옵션이 체크되어 있다면, VM 내에서 VMWare Tools를 꺼냅니다
  3. "디스크 또는 디스크 이미지 선택..." 옵션을 선택합니다
  4. 여러 디스크 이미지가 나타나면 두 번째 Darwin 이미지(예: darwinPre15.iso)를 선택합니다
  5. "CD/DVD 드라이브 연결" 옵션을 체크하고 도구 설치를 진행합니다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 방법

1. "An error occurred installing macOS" 오류

이 오류는 주로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VMX 파일의 설정을 다시 확인하고 누락된 설정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네트워크 설정을 NAT에서 브리지 모드로 변경해 봅니다
  • 가상머신의 메모리와 CPU 할당량을 늘려봅니다

2. 커널 패닉(Kernel Panic) 오류

macOS 부팅 중 Apple 로고가 나타난 후 오류 메시지와 함께 재부팅되는 현상입니다:

  • VMWare Unlocker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VMX 파일에 smc.version = "0" 설정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BIOS에서 가상화 기술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VMWare Tools 설치 오류

"Unable to update run-time folder sharing status: VMware Tools are not running in the guest" 오류가 발생할 경우:

  • 올바른 Darwin 이미지를 선택했는지 확인합니다
  • macOS 버전과 호환되는 VMWare Tools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설치 전에 VMWare를 재시작해 봅니다

4. 그래픽 성능 문제

macOS가 느리게 작동하거나 그래픽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 VMWare 설정에서 3D 가속을 활성화합니다
  • 가상머신에 할당된 비디오 메모리를 늘립니다
  • config.ini 파일에 mks.gl.allowBlacklistedDrivers = "TRUE" 설정을 추가합니다

결론

윈도우 PC에서 VMWare를 이용해 macOS를 설치하는 것은 약간의 기술적 지식이 필요하지만, 이 가이드를 따라하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macOS를 가상머신으로 실행하면 애플 하드웨어를 구매하지 않고도 macOS 환경을 경험하고 iOS/macOS 앱 개발, 크로스 플랫폼 테스트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애플의 EULA에 따르면 macOS는 애플 하드웨어에서만 실행하도록 제한되어 있으므로, 이 방법은 주로 교육 및 테스트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상화된 환경이므로 네이티브 설치에 비해 성능이 다소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세요.

자주 묻는 질문

Q: 어떤 버전의 macOS를 설치할 수 있나요?

A: 기술적으로는 Snow Leopard(10.6)부터 최신 버전까지 설치 가능하지만, 최신 버전일수록 하드웨어 요구사항이 높아집니다.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High Sierra(10.13)부터 Monterey(12.x) 사이의 버전을 권장합니다.

Q: VMWare 외에 다른 가상화 소프트웨어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VirtualBox나 Parallels Desktop 등의 대안도 있습니다. 하지만 VMWare가 macOS 가상화에 가장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가상머신의 macOS에서 iMessage나 FaceTime을 사용할 수 있나요?

A: 일반적으로 가상화된 macOS에서는 iMessage, FaceTime 등 일부 Apple 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이러한 서비스들이 정품 Apple 하드웨어 인증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Q: macOS 가상머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나요?

A: 가상머신에 더 많은 RAM과 CPU 코어를 할당하고, 3D 가속을 활성화하며, SSD에 가상 디스크를 저장하는 것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